개의 비인두협착(Nasopharyngeal Stenosis, NPS) 치료에서 **스텐트(stent placement)**와 **풍선확장술(balloon dilatation)**은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치료법입니다. 아래에 두 방법의 장단점 비교와 논문 근거 기반의 결론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✅ 1. 풍선확장술 (Balloon Dilatation)
장점
- 비침습적, 구조물 삽입 없이 해부학적 복원 가능
- 초기 비용이 저렴
- 시술 시간이 짧고, 기구 접근이 쉬움
- 일부 고양이에서 장기 성공 사례 존재 (주로 caudal NPS)
단점
- 재협착률 매우 높음 (개에서 거의 100% 실패 보고됨)
- 조직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고 찢어지기만 하는 경우가 많아 완전한 개통 어려움
- 반복 시술 필요 → 누적 비용 증가
- imperforate lesion, rostral lesion에서는 성공 가능성 낮음
- 개에서는 단독 성공 사례가 없음 (Berent 2016, Burdick 2018)
문헌 근거
- 성공률 (개): 0% (Burdick et al., 2018, JAVMA)
- 조직 재형성 시 4주 내 재협착 빈번
- 2~3회 반복해야 겨우 효과 있는 경우도 있음 (고양이 기준)
✅ 2. 스텐트 삽입술 (Metallic Stent Placement)
장점
- 개에서 유일하게 장기 성공 사례가 입증된 방법
- 즉각적인 기도 개방 효과
- 특히 imperforate stenosis 또는 중등도~중증 협착에서 효과적
- Covered stent 사용 시 재협착 거의 없음
단점
- 합병증 발생률이 높음 (70% 이상)
- tissue ingrowth (UMS에서 33%)
- chronic infection (CMS에서 54%)
- oronasal fistula, migration, exaggerated swallowing 등
- 시술 및 재시술 비용이 높음
- 위치/크기 설정 부정확 시 재시술 필요
- 환자에 따라 이물감으로 인한 불편 가능
문헌 근거
- 전체 성공률: UMS 67%, CMS 100% (Burdick et al., 2018)
- 개의 경우 풍선확장 단독 성공률 0% vs 스텐트 성공률 60~100%
- 고양이보다 개에서 더 많은 합병증, 하지만 결과는 유의미하게 좋음
🧾 요약 비교표
항목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
시술 난이도 | 간단함 | 복잡함 (endoscopy + fluoroscopy) |
초기 비용 | 낮음 | 높음 |
장기 성공률 (개) | 거의 없음 (0%) | 높음 (67~100%) |
재시술 필요성 | 높음 | 중간~낮음 |
합병증 빈도 | 낮음 | 높음 |
적응증 | 얇은, caudal, patent NPS | 대부분의 NPS, 특히 개에서 추천 |
보호자 만족도 | 낮음 | 높음 (결과에 비해) |
🟢 결론: 개에서는 스텐트 삽입술이 우선 선택
추천 이유:
- 개에서 풍선확장 단독 치료는 사실상 실패율 100%
- imperforate, rostral lesion 등 복잡한 경우 많음
- 스텐트가 단일 시술로 호흡기 증상을 즉시 완화시키고, 성공률이 확실히 높음
- Covered metallic stent (CMS) 사용 시 tissue ingrowth도 방지 가능
➡️ 단, 감염, 구개천공, 이물감 등 합병증에 대한 보호자 교육과 장기 follow-up 계획 필요
연구개 절제술(staphylectomy)을 비인두협착(NPS)의 치료에 병행할지 여부
✅ 병행 고려가 필요한 경우
1. 연구개가 과도하게 길거나 두꺼운 경우
- CT나 내시경에서 연구개가 비인두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
- 연구개의 후방 끝이 후두개(epiglottis)를 덮거나 접촉하는 경우
- 특히 소형견, brachycephalic breed(예: 퍼그, 요크셔테리어 등)에서는 구조적으로 연구개가 길어져 있는 경우가 흔함
➡️ 이 경우, 스텐트만으로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재협착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, 연구개 절제술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2. 협착 위치가 비인두 후방(caudal third)
- 연구개와의 간섭 가능성 증가
- 스텐트가 연구개 아래로 밀려들어가 연하 곤란, 구개천공, exaggerated swallowing 등의 부작용 유발 가능
⛔ 병행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경우
1. **협착이 비인두 전방(rostral third)**에 국한된 경우
- 연구개는 병변과 관련 없음 → 불필요한 절제가 될 수 있음
2. 협착 정도가 경미하고, 연구개는 정상 해부학적 범위 내일 때
- 이 경우는 스텐트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
📌 연구개 절제술 병행 시 장점
- 비인두 공간 확보 → 스텐트 압박 감소
- 공기 흐름 개선 → stertor 감소
- 연하 시 스텐트 접촉 감소 → 구개천공 및 불편감 예방
⚠️ 단점 및 주의사항
- 출혈, 부종으로 인한 일시적 호흡 곤란
- 과도 절제 시 연하장애 또는 역류 가능
- 소형견에서는 후두기능의 여유가 적어, 수술 시 더 신중해야 함
🩺 결론
환자 조건 연구개 절제술 병행 여부
연구개 길고 두꺼움 | ✅ 병행 권장 |
협착이 후방에 위치함 | ✅ 병행 권장 |
연하장애·스텐트 불편감 우려됨 | ✅ 고려 |
전방 협착 + 연구개 정상 | ❌ 불필요할 수 있음 |
개의 비인두협착(nasopharyngeal stenosis, NPS) 치료에서 스텐트(stent) 장착 시 고려해야 할 사항
✅ 1. 스텐트 적응증 결정
- 풍선확장술(balloon dilatation) 실패 후 또는 협착의 재발이 예상될 때 시행
- **선천적 막형 협착(imperforate stenosis)**이거나 두꺼운 반흔조직이 있는 경우에는 스텐트 장착이 더 권장됨.
✅ 2. 스텐트 종류 선택
종류 특징 장점 단점/합병증
UMS (Uncovered metallic stent) | 일반 금속 스텐트 | 조직 내 융합으로 고정됨 | 조직 내 자라남(tissue ingrowth), 골절, 감염, 구개천공 |
CMS (Covered metallic stent) | 외피 덮인 금속 스텐트 | 조직 자라남 방지, 효과적 유지 | 감염률 증가, 구개천공 가능성, 이물 반응 |
3D 프린트 스텐트 | 개인 맞춤형 실리콘 | 정확한 적합도, 유연함 | 제작 시간 필요, 임상 적용은 아직 제한적 |
✅ 3. 스텐트 크기와 위치 결정
- 스텐트 길이: 협착 부위 양쪽으로 최소 10mm씩 여유 있게 커버해야 함
- 직경: 정상 비인두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설정 (풍선확장 직후 측정 기준)
- 위치:
- 너무 전방: 비강 중 한쪽만 커버될 수 있음 → 배액 장애
- 너무 후방: 연하 시 구개 움직임 방해 → 음식 역류나 삼킴 이상
✅ 4. 합병증 및 관리
- UMS에서 흔한 합병증:
- 조직 내 자라남 (33%)
- 감염 (23%)
- 스텐트 골절 (17%)
- CMS에서 흔한 합병증:
- 감염 (54%)
- 구개천공 (27%)
- 기타:
- 삼킴 과장, 스텐트 휘어짐, 스텐트 이동 등
👉 관리 방안:
- 조직 자라남 시 재확장 또는 CMS 교체
- 감염 시 장기 항생제 필요
- 구개천공 시 외과적 수술 또는 CMS로 덮기
✅ 5. 예후 및 성공률
- 전체 성공률: 약 78%
- CMS 사용 시 성공률: 100%
- 개의 경우 고양이보다 성공률 낮고 합병증 빈도 높음
- 병변이 **비인두 후방(caudal)**에 위치한 경우 예후가 더 좋음
✅ 6. 시술 후 관리
- 항생제: 14~28일간 amoxicillin-clavulanate
- 스테로이드: 2-4주간 tapering (prednisone 0.5-1.0 mg/kg BID)
- 진통제: buprenorphine 또는 tramadol
- 정기적 내시경/영상 평가 필요 (4~6주 간격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