🧠 1. 상위운동신경원 (UMN, Upper Motor Neuron)
■ 정의
- 뇌에서 기원하여 척수의 하위운동신경원(LMN)을 조절하는 신경 세포들.
- 뇌의 운동피질 → 중뇌 → 연수 → 척수 백질(특히 측색, lateral funiculus)을 따라 내려가며 LMN에 억제 및 흥분성 신호를 전달함.
■ 위치
- 뇌의 운동피질 (motor cortex)
- **뇌간(brainstem)**의 운동핵
- 이들의 축삭(axon)은 **척수의 백질(white matter)**을 따라 주행
■ 주요 역할
- 운동 시작 및 조절
- 운동의 정밀성, 속도, 세기 조절
- 근긴장도의 억제 조절 (특히 신경반사 회로에 대한 억제 작용)
- LMN에 명령을 내려 실제 운동 수행 유도
■ 병변 시 증상 (UMN 손상)
➡️ 목 아래 병변 시 뒷다리에서 자주 관찰
- 운동 능력 저하 or 마비: 신경은 전달되지만 LMN은 살아있기 때문에 반사는 가능
- 반사 항진 (hyperreflexia): 억제성 조절이 끊어짐
- 근긴장도 증가 (hypertonia): LMN이 자극받아 근육 긴장이 증가
- 천천히 진행되는 근위축 (disuse atrophy)
- 병변보다 아래 부위에서 증상 발생
🦴 2. 하위운동신경원 (LMN, Lower Motor Neuron)
■ 정의
- 운동의 마지막 실행자.
- 척수의 전각(ventral horn) 또는 뇌신경 운동핵에서 기원하여 말초신경을 통해 근육으로 자극 전달.
- 직접적으로 골격근을 자극하여 수축시킴.
■ 위치
- 척수의 전각(ventral horn) 신경세포
- 말초신경(axons)
- 신경근 접합부(neuromuscular junction)
- 근육 자체
➡️ 즉, 근육까지 연결되는 전체 회로를 LMN이라 함.
■ 주요 역할
- 실제로 근육을 수축시켜 운동을 일으킴
- 근긴장도 유지
- 척수반사의 efferent limb으로 작동
■ 병변 시 증상 (LMN 손상)
➡️ C6-T2 또는 L4-S3 손상 시 자주 관찰됨
- 이완성 마비 (flaccid paresis/paralysis)
- 반사 소실 또는 저하 (hyporeflexia/areflexia)
- 근긴장도 저하 (hypotonia)
- 신경성 근위축 (neurogenic atrophy): 빠르고 심각한 진행
🔍 3. UMN vs LMN 정리 비교표
구분 | UMN (상위운동신경원) | LMN (하위운동신경원) |
위치 | 뇌 → 척수 백질 내 | 척수 전각 → 말초신경 → 근육 |
기능 | LMN 조절, 억제/흥분 신호 제공 | 근육 수축의 직접 실행 |
병변 위치 | 병변 부위 아래에 증상 발생 | 병변 부위 해당 근육에 직접 증상 |
마비 형태 | 강직성 마비 (spastic paresis) | 이완성 마비 (flaccid paresis) |
반사 | 항진 (hyperreflexia) | 저하 또는 소실 (hyporeflexia/areflexia) |
근긴장도 | 증가 (hypertonia) | 감소 (hypotonia) |
근위축 | 서서히 진행, 사용부재성 | 빠르고 심한 신경성 |
흔한 병변 부위 | C1-C5, T3-L3 | C6-T2 (앞다리 LMN), L4-S3 (뒷다리 LMN) |
📚 수의학적 임상적 의의
척수병변의 구획화를 위해 UMN vs LMN 증상 구분은 필수입니다.
특히 사지의 마비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.
- 모든 사지 LMN 증상 → 광범위한 말초신경 병변 (예: 다발성신경병)
- 앞다리 LMN + 뒷다리 UMN → C6-T2 병변
- 앞다리 정상 + 뒷다리 UMN → T3-L3 병변
- 앞다리 정상 + 뒷다리 LMN → L4-S3 병변
🔗 참고 논문 및 문헌
- De Lahunta’s Veterinary Neuroanatomy and Clinical Neurology (4th ed.)
- Lorenz, Kornegay et al. Handbook of Veterinary Neurology
- Jeffery ND. Spinal cord injury in dogs and cats.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. 2010.
- Granger et al. Clinical neuroanatomy and lesion localization (Vet Clinics, 2010)